안녕하세요 :)
happy, SONHAUS에요!
오늘은 달콤한 화이트와인이 유명한
독일와인에 대해 알아볼게요!

독일와인은 프랑스와인의 1/4정도로 생산되고있으며
독일의 기후가 저온이라 화이트와인 포도품종 재배에 유리한 특징이있어요
레드와인이 건강에 긍정적인 측면이 대두되면서
화이트와인의 소비가 줄어 최근 독일와인은 생산 및 소비가 살짝 위축되어있어요
독일은 알콤함류량도 8-9정도고 달콤한 와인을 만드는편입니당
화이트와인의 등급이올라갈수록 스위트와인이기때문에
독일와인의 가격은 비싼편이예요
오늘의 컨텐츠를 3가지로 간단히 요약해보겠습니다
와인의 산지별특징_독일편
1. 독일 와인산지 특성 및 포도품종
2. 독일와인 등급
3. 독일대표와인
자! 그럼 독일 와인의 산지부터 함께 공부해볼까요?!
1. 독일와인산지 특성 및 포도품종
1) 독일와인산지 특성
독일의 와인산지는 일조량이 부족한편이고
월평균기온도 낮은편이예요.
온화한 여름이 길어
포도가 새콤하고 향긋한 편이예요
이런 기후를 고려해 화이트와인을 주로 생산한답니다
2) 독일와인 포도품종
앞서 말씀드린대로
독일은 화이트와인 생산이 많기때문에
화이트와인을 생산하는 청포도의 재배비중이 조금더높아요
청포도품종에는 리슬링이 우세하며 샤도네이, Gewurztraminer이 있구요
적포도품종에는 Spatburgunder, 피노누아가 있어요
최근에는 Dornfelder 생산량이 늘고있답니다
2. 독일와인등급

QmP 독일최고급포도주를 포함하는 등급으로 설탕을 일체 첨가하지않은 최고품질의 와인으로 특정포도원에서만 생산
*Qmp품질등급표(늦게수확할수록 비싸짐)
카비네트(잘익은포도로 제조, 섬세하고 가벼움)
슈페트레제(정상시기보다 ㅣ주일늦게 수확, 맛과향이 강하며 감미가 있음)
아우스레제(잘익은포도송이만 수확하며 맛과 향 이 슈페트레제보다 강하며 감이가 더 있음) 베렌아우스레제(완전히 잘익은 포도만 수확, 완숙미와 진한맛으로 디저트와인용으로 쓰임) 트로켄베렌아우스레제(감미가 농축된 귀부포도로 만들어 향미가 풍부)
아이스바인(포도를 밭에서 얼려수확, 신맛과 단맛이 어우러진 최고급와인임)
QbA 독일와인의 대부분. 13개포도재배지역에서 생산되고 그 와인들이 전통적인 맛을 갖도록 보증하는 품질등급이예요
Landwei n 조금더 강하고 드라이한 상급타펄웨인을 말함
Deutscher Tafelwein 보통의 테이블와인을 말함
Tafelwein
3.독일의 대표와인
독일의 대표와인산지는 라인강은 끼고있는 독일 중서부지역에 집중되어있어요
마인쯔, 비스바덴, 빙겐, 라인가우, 라인헤쎈, 팔쯔, 모젤자르루버가 있어요
라인가우지방이 독일와인의 핵심지이며 이곳에서 리슬링포도가 80%이상 생산되요. 라인가우지역에는 카르타라하는 와인이 유명하고 아주드라이한 최고급화이트와인입니당. 카르타라와인의 aoce를 따르려면 100%포도원 소유의 포도여야할것. 100% 리슬링로만 와인을 만들것. 손으로만 포도를 수확할것. 12%이상의 알콜을 함유해야한다는 것, 1ha당 최대 50hectoliter는 생산해야할것 같은 규칙들이있어요
병도 모양이 아주다른데 갈색으로 된 아주얇은병을 주로사용해요
오늘 독일와인은 정리내용이 짧은것같아서
독일 와인용어를 몇개 더 소개해볼게요!
청포도로만든 화이트와인 weiss wein
적포도로만든 레드 와인 rot wein
적포도로만든 로제와인 rose wein
당도가 9g미만으로 거의없는 드라이한와인 trocken
당도가 9~18 g/liter 잔여당분이있는 와인 halbtrocken
잔여당분이 18-45g/liter 있는 와인 lieblich
잔여당분이 45g이 넘는 스위트한 와인 suss
발포성와인 시온바인
상파뉴방식의 발포성와인 sekt
그럼 다음 스토리에서 만나요
HAPPY SONHAUS 와인스토리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산지별와인 특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인소믈리에, 산지별와인] 6.호주와인, 뉴질랜드와인 (0) | 2021.09.22 |
---|---|
[와인소믈리에, 산지별와인] 5.미국와인 (0) | 2021.09.21 |
[와인소믈리에, 산지별와인] 4. 스페인&포르투칼 와인 (0) | 2021.09.20 |
[와인소믈리에, 산지별와인] 2. 이탈리아와인 (3) | 2021.09.16 |
[와인소믈리에, 산지별와인] 1.프랑스 와인 (0) | 2021.09.15 |